티스토리 뷰
Getting started¶
참고자료¶
https://github.com/JuliaComputing/JuliaBoxTutorials/tree/master/intro-to-julia (github : JuliaComputing/JuliaBoxTutorials/intro-to-julia)
주제:
함께보기¶
http://deepstat.tistory.com/45 (01. Getting started)(in English)
어떻게 출력하나? ¶
println() 을 사용한다.
In [1]:
println("안녕, 줄리아!")
어떻게 변수를 할당하나? ¶
In [2]:
a = 1
println(a)
In [3]:
typeof(a)
Out[3]:
In [4]:
b = 1.1
println(b)
typeof(b)
Out[4]:
In [5]:
😺 = "smiley cat!"
println(😺)
typeof(😺)
Out[5]:
smiley cat을 입력하기 위해서는, tab 완성기능을 사용해서 이모지 이름을 선택하고, 탭을 한 번 더 누르면 된다.
In [6]:
# \:smi + <tab> --> 화살표 아래버튼을 눌러서 선택 + <enter> ---> <tab> + <enter> 눌러서 완성.
변수에 값을 할당하고 나서, 아무런 문제 없이 다른 값을 또 할당할 수 있다. (덮어쓰기)
In [7]:
😺 = 1
println(😺)
typeof(😺)
Out[7]:
이 방법은 아래와 같은 코드를 작성할 수 있도록 해준다.
In [8]:
😄 = 0
😠 = -1
😄 - 😺 == 😠
Out[8]:
코멘트를 어떻게 다나? ¶
In [9]:
# 한 줄의 코멘트를 달 때는, # 키 다음에 내용을 입력하면 된다.
In [10]:
#=
여러 줄의 코멘트를 달고 싶으면,
'#= =#' 안에 내용을 넣는다.
=#
기초적인 산수들 ¶
In [11]:
my_sum = 3 + 7
Out[11]:
In [12]:
my_difference = 10 - 3
Out[12]:
In [13]:
my_product = 20 * 5
Out[13]:
In [14]:
my_quotient = 100 / 10
Out[14]:
In [15]:
my_power = 10 ^ 2
Out[15]:
In [16]:
my_modulus = 101 % 2
Out[16]:
In [17]:
?convert
Out[17]:
1.2¶
days 라는 변수에 365를 할당하자. 그리고 days를 float로 바꾸자.
In [18]:
days = 356
Out[18]:
In [19]:
days_copy = convert(Float64,days)
Out[19]:
In [20]:
println(days)
typeof(days)
Out[20]:
In [21]:
println(days_copy)
typeof(days_copy)
Out[21]:
In [22]:
convert(Int64, "1")
In [23]:
parse(Int64, "1")
Out[23]:
In [24]:
typeof(parse(Int64, "1"))
Out[24]:
In [25]:
?parse
Out[25]:
'Flux in Julia > Learning Julia (Intro_to_Julia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03. Data structures (한글) (0) | 2018.09.13 |
---|---|
03. Data structures (0) | 2018.09.13 |
02. Strings (한글) (0) | 2018.09.12 |
02. Strings (0) | 2018.09.12 |
01. Getting started (0) | 2018.09.11 |